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차이점? 1금융권에 해당하는 농협은행과 상호금융권에 해당하는 지역농협이 있습니다. 지역농협은 농협은행에 비하여 세금우대 및 비과세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요. 그리고 농협은행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예금과 적금 등 고금리 저축 상품에 가입도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예금/적금 상품에 가입하고 세금우대 혜택 까지 받을 수 있는데요. 이러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준)조합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NH농협 회원 시스템에는 다시 한번 조합원과 준조합원으로 나누어 지는데요. 조합원 및 준조합원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차이점
조합원과 준조합원은 회원 시스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조합원은 정회원, 준조합원은 준회원 정도로 이해하시면 되겠는데요.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가입대상으로 구분합니다. 지역농협의 조합원은 가입 농협 지점에 거소를 두고 있는 농업인만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농업인을 제외한 일반인은 준조합원을 통하여 가입 신청이 가능합니다.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차이점 | ||
구분 | 회원구분 | |
조합원 | 준조합원 | |
가입대상 | 농업인 | 그 외 |
가입조건 | 해당하는 단위 농협에 주소를 가지고 있거나 거소를 둔 자 |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혜택
NH농협(지역농협/단위농협) 조합원 및 준조합은 기본적으로 출자금통장 비과세 혜택 및 예적금 세금우대 그리고 배당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조합원과 준조합원은 혜택 차이가 없느냐? 그렇지도 않습니다. 당연히 조합원에게는 이러한 기본 혜택에서 명절이나 생일 등의 특별한 날에 지원금이 주어지고 자녀들이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대학교 입학시 지원금도 주어집니다. 또한 배당금에 대해서도 농협 배당금 외에 영농자재 사용 배당금도 주어지고 매년 종합검진에 사용되는 지원금 혜택 등 다양한 조합원 혜택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일반적인 예시이며 지역농협 마다 혜택이 조금 씩 다르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차이점 | ||
구분 | 회원구분 | |
조합원 | 준조합원 | |
공동혜택 | 출자금통장 비과세 혜택 | |
예적금 세금우대 혜택 | ||
개별혜택 | 배당금 혜택 | 농협 배당금 20만원 |
영농자재 사용 배당 20만원 | ||
명절 상품권 및 선물 10만원 | ||
본인생일 5만원 | ||
자녀 입학축하금 ▷ 초등학교 20만원 ▷ 고등학교 40만원 ▷ 대학교 100만원 |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가입방법
NH농협(지역농협/단위농협) 조합원 가입은 농업인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조합원은 비대면 가입이 불가하기 때문에 반드시 본인이 거주중인 주소에 해당하는 지역의 농협 지점에 방문하여 신청하셔야 합니다. 반면에 농업인 외 대상자들이 신청 가능한 NH농협 준조합원의 경우 농협 영업지점 내방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비대면 가입 신청도 가능합니다.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차이점 | ||
구분 | 회원구분 | |
조합원 | 준조합원 | |
가입방법 | 대면 | 대면/비대면 |
NH농협 조합원/준조합원에 가입 신청하기 위해서는 몇가지 준비물을 준비해주셔야 합니다. NH농협 조합원의 경우 농업인을 증명하는 서류와 본인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준비하여 해당 지역의 NH농협 영업지점에 내방하여 신청해주셔야 합니다. 반면에 준조합원의 경우 내방 또는 비대면을 통하여 신청이 가능하며 준비물은 본인임을 증명하는 서류만 준비해주시면 됩니다.
NH농협 조합원 준조합원 차이점 | ||
구분 | 회원구분 | |
조합원 | 준조합원 | |
가입 준비물 | 조합원 가입신청서 ▷ 내방하여 작성 |
조합원 가입신청서 ▷ 내방하여 작성 ▷ 비대면 작성 |
신분증 (주민등록증 or 운전면허증) 주민등록 초본 |
||
농업인 확인서류 ▷ 농업경영체등록확인서 ▷ 농지대장 등 |
||
출자금 | 1천원 | 400만원 ~ 1,000만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