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 계좌 비과세 분리과세 비교

ISA 계좌 비과세 분리과세 비교: ISA는 만능통장이라 불리우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를 말합니다. ISA 계좌의 최대 장점은 절세혜택을 얻을 수 있어 금액에 따라 비과세와 분리과세 등으로 나누어 집니다. 일반계좌의 경우 손실에 상관없이 이익에 세금을 부과하는 반면에 중개형 ISA 계좌의 경우 이익에 손실을 제외하고 순이익에 대하여만 세금을 부과하는 장점 또한 있는데요. 본문 내용에서는 ISA 계좌의 장점 중 하나인 비과세와 분리과세에 대한 기준과 금액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SA 계좌 비과세 분리과세 비교

ISA계좌 비과세 분리과세

ISA 계좌는 투자 이익에 대하여 합산 통산 순이익 전액이 비과세로 적용하고 발생한 손익을 합쳐 순이익의 200만원 까지는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즉, 비과세로 적용되는데요. 그리고 비과세 한도인 200만원을 초과하는 수익에 대하여는 일반과세가 아닌 9.9%의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일반계좌에서 이자나 배당소득세율이 15.4%인 것과 비교했을 때 절세혜택을 받게 됩니다.

2023년 ISA 계좌 비과세 분리과세
국내 상장주식과
국내 공모 주식형펀드
투자이익
(매매, 환매)
통산 순이익 전액 비과세
투자 순손실(-)시 통산 순이익에 대하여
▷ 200만원 한도 비과세
(서민, 농어민 400만원 한도)
▷ 한도 초과분은 9.9% 저율과세
배당이익
(주식 배당금 등)
예·적금 파생결합증권 등
기타 금융상품
투자손익
이자·배당이익

예를들어 예금 상품 등의 이자로 1천만원의 수익과 주식 투자로 인하여 5백만원의 손실이 발생했을 때 일반계좌와 ISA 계좌의 과세를 비교해보았을 때 일반계좌의 경우 1천만원의 수익에 대해 이자소득세 15.4%인 154만원의 세금을 부과하게 됩니다. 500만원의 주식 투자 손실은 고려하지 않는 것이죠.

반면에 ISA 계좌의 경우 1천만원의 수익과 5백만원의 손실을 모두 포함하여 전체 손익을 계산하여 5백만원이 되는데 여기서 200만원 까지는 비과세가 적용이 되고 나머지 300만원은 9.9%의 분리과세가 적용되어 29만 7천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처럼 동일한 상황에서도 계좌의 종류에 따라 다른 세금을 부과하게 되는데요.

일반계좌와 비교
1000만원 이자 수익 + 주식 500만원 손실
일반계좌 ISA계좌
1000만원 이자 수익

154만원(15.4%)과세
전체 손익 500만원

29만 7천원(9.9% 과세

2023년 붜 달라지는 ISA

2023년 부터는 5천만원을 초과하는 주식 투자 양도차익에 대하여 세금이 부과됩니다. 금액구간에 따라 3억원 까지는 20%를 부과하고 3억원 초과분 부터는 25%를 부과하게 됩니다. 여기서 지방세를 포함하면 각각 3억원 22%, 3억원 초과분 27%가 부과되며 5천만원의 기본공제가 존재합니다. 반면 ISA 계좌를 통해 투자한 국내 상장주식과 공모주식형 펀드의 향도나 환매*시 발생한 소득은 전액 비과세로 적용하게 되는데요. ISA에서 발생한 모든 손익은 ISA 내에서만 통산되며 그 외의 금융소득과 합산해 과세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2023년부터 달라지는 점
5,000만원 초과 양도차익
일반계좌 ISA계좌
세금부과

3억원 22%
3억원 초과시 27.5%
국내 상장주식,
공모주식형 펀드

전액 비과세

예를들어 2023년 국내 상장주식 매매를 통하여 1억 5천만원의 수익을 얻었을 경우 일반계좌의 경우 5천만원 까지 세금공제를 받고 초과분인 1억원에 대하여 22% 세율이 적용되어 2천 2백만원의 세금을 내야합니다. 반면에 ISA 계좌를 이용한다면 ISA내 주식투자 매매차익 전부 비과세가 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세금은 없습니다. 이처럼 ISA계좌만 가지고 있어도 수익에 대한 세금 걱정은 전혀 없을 것 같지만서도 ISA는 다양한 단점이 존재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ISA계좌에 가입할 때에는 장점 뿐만 아니라 단점 또한 같이 알아보고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