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A통장 사용하는 이유, 장점 & 단점 비교

CMA통장 또는 CMA계좌라고 들어보셨나요? CMA통장은 우리가 알고 있는 시중은행(국민은행, 농협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등)에서 개설하는 입출금통장이 아닌 KB증권, 우리종합금융 등 증권사를 통하여 개설이 가능한 입출식계좌로 많은 분들이 시중은행의 입출금통장 대신에 파킹통장이나 CMA통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CMA통장을 사용하는 지, CMA통장의 정의와 CMA계좌의 장점 그리고 단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MA통장 장단점 비교에 대한 설명

CMA통장 정의

CMA(Cash Management Account, CMA) 통장이란 직역하면 종합자산관리계좌로 일반 시중은행에서 운용하는 입출금통장고나는 달리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수시 입출금통장을 말합니다. CMA계좌는 고객이 맡긴 돈을 은행채와 국채, 우량채권 등 단기 상품 위주로 투자하여 발생하는 수익을 고객들에게 이자의 형태로 나누어 주는 금융상품입니다.

※ CMA :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수시 입출금계좌

CMA계좌 장단점

많은 분들이 CMA통장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높은 금리(이자) 때문입니다. 시중은행의 입출금통장의 평균 이자는 0.1~0.3% 내외(예금/적금 제외) 이지만 파킹통장이나 CMA통장의 경우 시중은행 입출금통장에 비해 10배나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데요. CMA통장의 금리는 증권사 상품에 따라 조금 씩 다르지만 인상된 금리가 반영되어 평균 2~4% 금리(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계좌 CMA계좌 이자비교
구분 일반계좌
(시중은행)
CMA계좌
(증권사)
금리 0.1~0.3% 2~4%

그리고 CMA통장은 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앞서 CMA계좌는 일반 시중은행의 운용방식과 달리 고객이 맡긴 돈을 주식이나 펀드 등에 투자하여 수익을 내고 그 수익을 가지고 고객들에게 이자를 지급하기 때문에 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시중은행의 입출금통장은 월 단위로 이자를 지급하기 때문에 일반계좌 보다는 CMA계좌를 선호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일반계좌 CMA계좌 이자지급 비교
구분 일반계좌
(시중은행)
CMA계좌
(증권사)
이자지급 월단위 일단위

그렇다면 CMA계좌의 단점은 무엇일까요? 높은 금리와 매일 지급되는 이자를 얻을 수 있는 CMA통장은 마냥 좋아보여도 치명적인 단점이 있는데요. CMA계좌는 투자 상품에 가깝기 때문에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예금자보호법이란 은행에 맡긴 돈을 5천만원 까지는 나라에서 원금을 보장해주는 것을 말하는데요. 만약 증권사가 파산한다면 CMA계좌에 넣어둔 돈은 예금자보호법으로 보호받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일반계좌 CMA계좌 예금보호 비교
구분 일반계좌
(시중은행)
CMA계좌
(증권사)
예금보호 가능 불가능

또한 CMA통장은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CMA계좌는 현금 인출/출금 시 수수료가 붙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증권사 또는 비대면 어플을 통하여 CMA계좌개설 시 수수료 면제를 받을 수 있는 우대 상품 및 혜택을 이용하시거나 자주 인출 하지 않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