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계산기 사용방법 (환전고시, 환율우대)

환율이란 한 나라의 화폐와 외국 화폐와의 교환 비율을 뜻합니다. 23년 1월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환율을 비교하였을 때 1달러로 1,200원을 교환할 수 있습니다. 작년 금리 인상시기에는 1,500원 가까이 올라간적도 있는데 이처럼 환율은각 나라의 경제 사정에 따라, 국제 경제의 흐름에 따라 매일 조금씩 바뀝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전 시에는 현재 환율을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한데요. 본문 내용에서는 환율계산기를 통하여 각 나라별 현재 환율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민곰 블로그 썸네일 사진

환율계산기 바로가기

환율계산기는 환율 계산을 버튼이나 옵션을 통하여 간편하게 계산을 도와주는 도구로 네이버 환율계산기가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 설명드릴 사용법 또한 네이버 환율계산기를 기준으로 할것인데요. 브라우저를 통해 “환율계산기”를 검색하시거나 아래 “환율계산기 바로가기”를 통하여 네이버 환율계산기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환율계산기 기본기능 및 사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환율계산기 바로가기

네이버 환율계산기 사용방법

환전공시 조회 방법에 대한 설명

네이버 환율계산기 초기화면을 보면 현재 미국 환율의 수치가 기본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해당 화면을 클릭하면 각 나라별 환전고시 환율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나라별로 미국 USD, 유럽 EUR, 중국 CNY, 일본 JPY 등 통화 단위가 표시되어 있는데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나라의 통화 단위는 익혀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메뉴에서는 환전고시 환율 외에 국제시장 환율, 유가·금시세, 원자재 등의 메뉴도 있으니 한번 둘러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환율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한 설명

네이버 환율계산기는 하나은행 및 신한은행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각 은행별로 클릭하여 차이를 알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죠. 네이버 환율계산기 사용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알아보고 싶은 금액 또는 환전하고자 하는 희망 금액을 입력(예: 1달러)하면 아래 환전금액(예: 1,210원)이 자동으로 표기되는데요. 디폴트(기본)로 미국달러와 한국원화로 기준되어 있는데 이는 해당 통화를 클릭하여 원하는 국가의 통화 선택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옵션 메뉴에는 현찰을 살때/팔때 또는 송금을 보낼때/받을때 기준을 선택하여 상세한 환율을 알아보실 수도 있습니다.

환전계산기와 환율우대

환율우대 조회방법에 대한 설명

환전을 한다면 환율우대에 대하여 알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환율우대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이 은근히 많은데요. 환율우대는 환전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깎아 주는 것을 말합니다. 환율우대 90%, 환율우대 80%라는 말 많이 들오보셨을 텐데요. 환전금액에 대하여 90%를 깎아 준다는 것이 아니라 수수료를 90% 만큼 깎아준다는 뜻인데 말로만 듣고서는 별로 체감이 들지 않을거에요. 아래 표를 통하여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율우대 수수료 비교
환율우대율 미국 USD 대한민국 KRW
환율우대 없음 1,000 달러 약 125만원
환율우대 90% 1,000 달러 약 123만원

네이버 환율계산기를 통하여 환율우대 차이를 알아볼까요? 하나는 환율우대를 받지 않고 미국 1천달러를 사는 경우와 환율우대 90%를 받고 미국 1천달러를 사는 경우를 비교해봤을 때, 환율우대를 받지 않은 경우 125만원의 원화가 필요하지만 환율우대 90%를 받는다면 미국 1천달러를 살 때 123만원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나오는데요. 환율우대를 통하여 2만원이라는 수수료를 아낄 수 있습니다. 또한 환율우대를 받는 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기 때문에 조금만 알아보신 다음 환율우대를 통해 환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