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 종류 및 장점/단점 비교

연금저축 종류: 많은 분들이 직장에서 퇴직하게 되면 가장 아쉬운 점이 연금일텐데요. 보통 연금저축이나 개인형 퇴직연금 IRP에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금저축은 개인이 자발적으로 가입하는 연금에 해당하며 연금저축에는 보험사에서 운용하는 연금저축보험과 은행에서 운용하는 연금저축신탁 그리고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연금저축펀드 등이 있는데요. 연금저축신탁의 경우 현재 판매가 중지된 상태이며 연금저축에 해당하는 연금저축보험과 연금저축펀드에 대하여 각각의 장단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의 종류 대한 설명

연금저축보험 종류별 장단점

연금저축보험은 생명보험사나 손해보험사가 운영하며 정해진 금액을 매월 납입하고 공시이율에 따라 수익을 더해 복리로 모아가는 상품입니다. 공시이율은 기준금리에 자산운용수익을 합해 평균을 정해 매월 제공하는 수익으로 단순 예금금리 정도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연금저축보험은 먼저 예금자보호가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금저축 펀드나 신탁의 경우 투자 상품에 가깝기 때문에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연금저축보험은 최저보증이율이 1%인데 기준금리가 하락하여 공시이율이 0.5%까지 떨어지게 되더라도 1% 수익을 보장해줍니다.

연금저축보험 종류 별 “장점”
운용사 보험사
금리 공시이율
예금자보호 가능
원금보장 가능

연금저축보험의 단점은 매월 정기적으로 납입을 유지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소득금액은 총 급여 5,500만원 제한이 있으며 종합소득의 경우 4,000만원 이하로 제한됩니다. 그리고 금리연동형 상품으로 3% 이상 수익률을 기대할 수 없으며 가장 큰 단점은 사업비 명목으로 6% 가까이 되는 수수료를 가지고 간다는 것입니다. 연금을 회복하는 기간만 3년에서 5년이 걸리게 되며 한달에 50만원을 넣는다고 가정하면 4만원의 수수료를 가져가게 되는 것입니다.

연금저축보험 종류 별 “단점”
납입방식 정기적 납입
금리 실적배당
수수료 있음

연금저축펀드 장단점

연금저축펀드는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상품으로 개인이 직접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저축채권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수익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는 자유롭게 납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으며 반도체나 전기차, AI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산업과 연계된 펀드를 활용한다면 추가 수익들을 만들어 복리 혜택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종류 별 “장점”
납입방식 정기적 납입
수익률 비교적 낮음
납입방식 자유

연금저축펀드의 최대 단점은 예금자보호가 되지 않으므로 원금보장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연금저축펀드는 투자의 개념에 가깝기 때문에 투자에 대하여 자신없는 분들은 되려 손해보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연금저축펀드는 개인이 이러한 리스크를 안고 가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종류 별 “단점”
예금자보호 불가
원금보호 불가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