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서 고금리 저축(예금/적금) 상품을 찾으시나요? 상호금융권(신협, 새마을금고 등) 은행은 1금융권 은행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금리의 예적금 상품을 판매하기 때문에 신협과 같은 상호금융권 상품에 가입한다면 높은 이자를 챙겨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신협과 새마을금고 같은 경우 조합의 개념이기 때문에 상품에 가입할 때에는 해당 조합의 경영실태나 사고 등의 이력이 없는 지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한데요. 본문 내용에서는 신협 정기예금/정기적금 가입할 때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는 항목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협 경영실태평가 등급 확인방법
신협 고금리 예적금 상품에 가입할 때에는 해당 조합의 신협이 안전한 지 등을 따져가면서 가입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가입하려는 신협 조합이 안전한 지를 확인하는 기준은 경영공시 등을 통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경영공시라는 단어가 생소할 수 있을텐데, 예적금 가입 시 항상 언급되는 “경영실태평가등급”은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는 경영상태를 등급으로 나눈것으로 1등급이면 보통 안전한 은행으로 봅니다. 다만 경영실태평가등급은 종합적인 상태를 등급으로 매긴 것이기 때문에 경영공시나 제재공시 등을 확인하여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영공시 바로가기
그렇다면 예시를 통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경영실태평가등급 부터 확인해볼건데 위의 “경영공시 바로가기”를 통하여 신협 경영공시 확인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여 주세요. 브라우저 검색을 통해 이동하실 분들은 [신협 홈페이지 접속 > 금융소비자보호안내 > 경여공시 > 조합] 경로로 이동해주시면 됩니다.
신협 경영공시 페이지로 이동해주셨다면 검색창에 가입하고자 하는 신협 조합 이름을 검색하여 주세요. 예시를 위해 “무주반딧불신협”의 경영공시를 알아보겠습니다. 처음에는 따라하여 주세요. 검색창에는 XX신협을 검색하면 조회가 안될 수도 있습니다. 그럴때에는 “XX신용협동조합”이라고 검색하시면 돼요. 조회된 신협 조합을 클릭하면 하단에 경영공시가 년도별로 조회됩니다. PDF파일 아이콘을 클릭하면 파일이 다운로드 되고 하얀색 백지모양 아이콘을 클릭하면 창을 바로 띄어 볼 수 있습니다.
무주반딧불신협의 2021년 결산공시를 확인해볼건예요. 좌측 메뉴에서 “경영지표에 관한 사항”을 클릭하고 하위 카테고리에 있는 “경영실태평가 등급 현황”을 눌러주시면 해당 조합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무주반딧불신협의 경영실태평가등급은 2등급으로 양호한 편인데요. 보통 1등급이면 매우 양호하고 3~4등급의 경우 안좋다고 평가하는데 사실 등급만으로는 정확하게 알 수 없기 때문에 경영공시고 확인할 줄 알아야 합니다. 아래 내용에 따라 진행하여 주세요.
신협 경영공시 재무상태 확인방법
고금리 예금/적금 상품에 가입할 때, 중요한 것은 해당 은행의 재무상태 입니다. 특히 신협과 같은 상호금융권은 조합 개념으로 각 조합마다 독립 법인체로 운영되기 때문에 가입 지점의 재무상태를 확인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경영공시는 위에서 확인하였던 경영실태평가 등급 현황 아래의 항목 중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수익성 유동성, 생산성 등을 통하여 파악하실 수 있는데요. 이 모든 것을 전부 봐야하는 것은 아니고 일부만 확인하면 됩니다.
신협 주요경영지표 항목 | ||
구분 | 항목 | 기준 |
자본적정성 | 총자산비율 | 높을수록 양호 |
단순자기자본비율 | ||
순자본비율 | ||
자산건전성 | 손실위험도가증여신비율 | 낮을수록 양호 |
순고정이하여신비율 | ||
연체대출비율 | ||
수익성 | 총자산이익율 | 높을수록 양호 |
수지비율 | 낮을수록 양호 | |
총자산경비율 | ||
유동성 | 유동성비율 | 높을수록 양호 |
고정자산비율 | 낮을수록 양호 | |
생산성 | 직원1인당 수신 | 높을수록 양호 |
직원1인당 여신 | ||
직원1인당 당기순이익 |
일단 주요 경영지표 항목을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자본적정성과 생산성의 경우 높을수록 양호하며, 자산건전성은 낮을수록 양호합니다. 그리고 수익성과 유동성은 하위 항목에 따라 달라지는데 수익성의 경우 총자산이익율은 높을수록 양호하고 수지비율 및 총자산경비율은 낮을수록 양호합니다. 그리고 유동성은 요동성비율과 고정자산비율로 나누어 지는데 유동성비율은 높을수록, 고정자산비율은 낮을수록 양호합니다. 여기서 생각되시는 점은 이 모든 것을 다봐야 하나? 라는 생각이 드실텐데 아래 항목만 보셔도 무관합니다.
신협 재무상태 확인방법 | ||
항목 | 2022년도 | 기준 |
순자본비율 | 2.66 | 3.0% 이상 양호 |
순고정이하여신비율 | 1.15 | 0% 가까울 수록 양호 |
유동성비율 | 124.78 | 100% 초과시 양호 |
신협 조합의 경영공시(재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순자본비율, 순고정이하여신비율, 유동성비율 이 세가지를 중점으로 보고 나머지는 참조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순자본비율은 높을수록 양호한데 1금융권은 8.0% 기준이고 신협과 같은 상호금융권은 3% 이상이면 양호하다고 판단합니다. 무주반딧불신협의 순자본비율은 2.66%로 재무상태가 불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2%에서 -3%의 순자본비율을 가진 조합에게는 재무상태개선 권고가 내려집니다. 무주반딧불신협 조합 역시 재무상태 권고를 받았을 건데요.
그리고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3개월 동안 회수하지 못한 대출금의 비율을 뜻합니다. 0%에 가까울수록 안전하고 8%에 가까울수록 부실하다고 판단할 수 있겠는데 무주반딧불신협의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1.15%는 0%에 가깝기 때문에 대출금 회수율은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마지막으로 유동성비율은 현재 얼마나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느냐에 대한 수치로 100%를 초과할수록 안전한 은해엥 해당하며 신협의 경우 보통 40%에서 90% 내외를 평균으로 합니다. 최근에 발생하였던 예적금 가입 고객들에게 예적금 해지요청 사건 또한 예적금 가입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이자(현금)이 없어 파산하니 안하니 논란이 되었었는데요. 그 때 문제가 되었던 조합들이 모두 경영실태평가등급 1등급이었지만 현금자산비율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경영실태평가 등급 만으로 확인할 것이 아니라 경영공시 등을 통하여 재무상태를 확인하는 습관도 필요합니다.
신협 재제공시 확인방법
신협 제재공시는 참고사항 입니다. 제재공시란 수시공시 내용을 자세하게 정리하여 올려 놓은 자료를 말합니다. 제재공시를 통해서는 가입하려는 신협 조합의 사건, 사고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직원 또는 임원이 돈 문제로 견책 등의 제재를 당하거나 대출한도 초과로 빌려줘서 직무정지 및 감봉을 당했다는 등의 사건/사고 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