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방법 및 증빙서류에 대하여 궁금하시다구요? 비대면 계좌개설을 통해 만들어진 입출금통장은 “한도제한계좌”로 설정됩니다. 한도제한계좌란 이체한도 금액이 소액으로 제한되는 소액이체 전용 계좌를 말하며, 큰 금액의 이체를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이 필요합니다. 본문 내용을 통해 수협은행을 이용중인 고객님들을 위한 한도제한계좌 해제 방법 및 해제에 필요한 서류 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협은행 한도제한계좌 이체한도금액
수협은행 한도제한계좌 해제 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알아보기 전에 먼저 한도제한계좌 상태에서는 얼마까지 이체가 가능한 지 알아보도록 할까요? 수협은행 한도제한계좌 상태에서는 온라인(인터넷/스마트)뱅킹을 통한 하루 최대 이체 금액은 30만원이며, ATM기기를 통해서 인출 또는 이체가능한 금액도 하루 최대 30만원 입니다. 수협은행 창구 방문을 통해 이체할 때에는 최대 100만원 까지 이체는 가능합니다. 100만원 이상의 이체를 원하시는 경우 반드시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을 해주어야 합니다.
수협 한도제한계좌 “이체한도 금액” | |||
창구 (인출/이체 합산) |
ATM | 인터넷뱅킹 스마트뱅킹 |
|
인출 | 이체 | ||
100만원 | 30만원 | 30만원 | 100만원 |
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방법
그렇다면 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방법 및 절차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수협은행을 이용중인 고객님들은 한도제한계좌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수협은행 영업지점 방문을 통해서만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시중은행 또는 신협 처럼 비대면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은 불가하며, 증빙서류를 지참하여 수협은행에 내방하여 해제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단, 조건을 충족하여 자동으로 해제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방법 | |
해제방법 | 해제유무 |
영업점 | O |
비대면 | X |
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서류
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을 위해서는 반드시 증빙서류를 지참하여 수협은행 영업지점에 내방해주셔야 합니다. 증빙서류란 한도제한계좌 상태의 입출금통장을 어떤 목적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증명하는 서류를 준비해가시면 되는데, 예를들어 급여통장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재직중인 회사의 “재직증명서” 또는 “건강보험료납입증명서” 등을 지참하여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이 가능합니다. 그 이외의 목적에 대한 증빙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서류” | |
구분 | 필요서류 |
급여통장 | ① 재직증명서 |
②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 | |
③ 건강보험료납입증명서 | |
아르바이트통장 | ① 고용주 사업자등록증 |
② 근로계약서 | |
③ 급여명세서 | |
자동이체통장 | ① 공과금 |
② 관리비이체(납부영수증) | |
③ 예금/적금 등 | |
연금 및 이자수령 또는 이자 납부계좌 | ① 연금수급권증서 |
② 월이자지급식예금통장 | |
③ 대출거래통장 | |
사업자통장 | ① 물품 또는 용역공급계약서(계산서) |
② 납세증명원 | |
③ (전자)세금계산서 | |
④ 부가가치세증명원 | |
⑤ 제무제표 |
수협 한도제한계좌 자동해제 조건
수협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을 위한 증빙서류 준비가 번거로우신 분들은 “자동해제 조건”을 충족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수협은행은 비대면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은 불가하지만 어떤 조건을 충족한다면 자동으로 해제되는 조건이 있습니다. 자동해제 조건으로는 대출을 신청하거나 일정 등급에 도달하거나, 공제가입 및 실적을 충족하는 방법 등이 있습니다.
수협은행 한도제한계좌 “자동 해제요건” | |
대출 | 1. 300만원 이상 비대면 대출 실행시 ※ 단, 예금담보대출 및 인터넷공제계약대출 제외 |
등급 | 2. 파트너고객등급 “패밀리” 이상 상향시 |
공제 | 3. 저축성상품 근거계좌 및 만기원리금 이체계좌 자동해제 시 ▷ 비대면 적립식 예금 : 신규일로부터 3개월 경과 / 3회 정상납입 / 잔액 50만원 이상 ▷ 비대면 거치식 예금 : 최초 신규일로부터 3개월 경과 / 잔액 500만원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