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권 은행으로 1금융권보다는 안전하지 않지만 높은 금리의 예금/적금 상품으로 인하여 재테크인 예테크를 하시는 분들이 선호하는 은행 중 하나입니다. 작년 금리인상 시기에서는 10%의 예금 상품과 12%의 적금 상품도 판매를 했었는데요. 새마을금고는 상호금융권 은행이기 때문에 은행보다는 조합에 가깝습니다. 그래서 예적금에 가입할 때 보면 서울새마을금고, 대구새마을금고 등으로 지역 및 조합별로 나누어 운영하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XX새마을금고의 예적금 상품에 가입할 때에는 해당 지점의 재무상태나 경영실태평가등급 등을 확인하여 주시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본문 내용에서는 새마을금고 경영공시 및 경영실태평가 등급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경영실태평가 등급 확인방법
새마을금고 경영공시, 정기공시, 수시공시 등의 용어는 별로 익숙치 않죠? 그런데 경영실태평가등급은 어디서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해당 지점의 새마을금고 재무상태를 등급으로 표한한 것으로 1등급이면 보통 안전한 은행(조합)으로 봅니다. 하지만 이는 평균적인 수치일 뿐 정확한 재무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경영공시 등을 확인하여야 하는데요. 먼저 새마을금고 경영실태평가 등급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새마을금고 경영공시 바로가기
새마을금고 경영실태평가 등급 확인은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홈페이지 > 사업안내 > 정기공시 > 수시공시] 경로를 통하여 접속해주셔도 되지만 위의 “경영공시 바로가기”를 통하여 번거롭게 경로를 찾을 필요 없이 새마을금고 경영실태평가 및 경영공시 조회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정기공시 페이지로 접속해주셨다면 절차에 따라 같이 진행하여 주세요. 예를들어 가락새마을금고에 고금리 예적금 상품에 가입하기 전 가락 지점의 새마을금고가 안전한 지 확인하기 위하여 경영실태평가등급을 확인해보겠습니다. “경영공시 바로가기”를 통해 새마을금고 정기공시 접속 후 검색창에 “가락” 또는 “가락새마을금고”를 검색하여 주세요. 그리고 조회된 새마을금고 지점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가락새마을금고 경영공시 안내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스크롤을 내려 31번으로 이동하면 “경영실태평가” 항목이 나타납니다. 여기서는 가락새마을금고가 2022년 06월 30일 (상반기) 기준으로 경영실태평가등급(종합등급)이 2등급으로 나타납니다. 경영실태평가 2등급은 무난한 편으로 1등급이면 안전한 은행(조합), 3등급~4등급은 부실한 은행(조합)으로 봅니다. 하지만 경영실태평가등급은 종합적인 등급에 불과하기 때문에 정확한 재무상태를 보기 위해서는 경영공시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조하여 주세요.
새마을금고 경영공시 확인방법
새마을금고 정기공시 31번 항목 경영실태평가등급을 확인해보았는데요. 여기서 조금만 스크롤을 올려서 25~29번의 경영지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5번에서 29번까지 많은 경영지표 항목이 보이실텐데요. 이걸 다 봐야해? 하실 수 있는데 경영지표에서 중요하게 볼 부분은 순자본비율, 순고정이하여신비율, 유동성비율 세가지 입니다. 하나씩 설명드려 볼게요.
새마을금고 경영공시 “순자본비율” | ||||
구분 | 당기 | 전기 | 증감 | |
25. 자본적정성 | 순자본비율 | 5.43 | 4.25 | 1.18 |
새마을금고 경영공시(경영지표) 중 순자본비율을 통하여 해당 지점의 재무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가락새마을금고의 경우 순자본비율(BIS비율)이 5.43%로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1금융권 은행의 경우 보통 BIS비율이 8.0%로 매우 안전한 은행으로 보며 8%에 가까울수록 안전한 은행(조합)으로 기준합니다. 가락새마을금고는 당기 5.43으로 작년 4.25에 비하여 1.18이 증감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경영공시 “순고정이하여신비율” | ||||
구분 | 당기 | 전기 | 증감 | |
26. 자산건전성 | 순고정이하여신비율 | 2.14 | 3.89 | -1.75 |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3개월 동안 회수하지 못한 대출금의 비율을 뜻합니다. 순고정이하여신비율은 0%에 가까울수록 안전하고 8%에 가까울수록 부실한 은행(조합)으로 봅니다. 가락새마을금고는 2.14%로 대출 회수관리가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가락새마을금고는 당기 2.14%인데 전기 3.89%에서 1.75%로 감소하여 회수하지 못한 대출금의 비율이 낮아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새마을금고 경영공시 “유동성비율” | ||||
구분 | 당기 | 전기 | 증감 | |
27. 유동성 | 유동성비율 | 73.69 | 182.32 | -108.63 |
마지막으로 유동성비율은 해당 지점의 새마을금고가 얼마나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입니다. 100%를 초과할수록 빛이 있더라도 상환 능력이 충분하다는 점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 보통 새마을금고와 같은 2금융권은 40~90% 내외가 기준으로 가락새마을금고의 유동성 비율은 73.69%로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법
새마을금고는 예금자보호가 된다 안된다 말들이 많은데요.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리다는 것이 정답입니다. 일단 새마을금고는 예금자보호가 가능합니다. 단, 1금융권 시중은행 처럼 나라에서 예금을 보호해주는 것이 아니라 새마을금고 자체에서 예금을 보호해줍니다. 새마을금고 예금보호는 지점과 본점의 예금+이자를 합하여 최대 5천만원 까지 보호를 해주며, 출자금의 경우 예금자보호 대상이 아니오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 |
보호기관 | 새마을금고 |
예금보호 | 5천만원 |
제외대상 | 출자금 |